강남구
○ 지원 대상
- 첫째 자녀 이상의 신생아 출생 신고일을 기준으로 1년 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강남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부 또는 모로 하며 대상 자녀는 동일 세대원이어야 함. (강남구 1년 미만 거주일 경우 1년이 지난 후에 지급 가능)
- 국외에서 출산한 경우 지원 제외 되지만 다문화 가족이 국외에서 자녀를 출산한 경우와 직장, 학업 등의 이유로 불가피하게 국외에서 자녀를 출산한 경우에는 지원 가능. (대상 자녀가 만 5세 이하일 경우에만 해당)
○ 지원 금액
구분 | 2020. 1. 1. ~ 2022. 12. 31. 출생아 | 2023. 1. 1. ~ 출생아 |
첫째 자녀 | 30만원 | 200만원 |
둘째 자녀 | 100만원 | 200만원 |
셋째 자녀 | 300만원 | 300만원 |
넷째 자녀 이상 | 500만원 | 500만원 |
○ 지급 방법
1회 100% 지원으로 매월 15일 지급
○ 신청 기간
출생 신고일로부터 1년 이내
(단, 직장, 학업 등의 이유로 불가피하게 국외에서 자녀를 출산한 경우 만 5세 이하인 대상자녀의 최초 귀국일로부터 1년 이내)
○ 문의
강남구청 보육 지원과 02) 3423-5855
광진구
○ 지원 대상
(첫째, 둘째 자녀)
2022. 1. 1. 이후 출생 신고하여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셋째 자녀 이상)
- 2022. 1. 1. 이후 출생아의 출생일로부터 축하금 신청일까지 계속하여 광진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신생아의 부모로 주민등록표상 동일 세대원
- 신생아가 부모의 사망, 이혼, 직업 등의 이유로 부모가 아닌 자와 거주하는 경우에는 주민등록이 같이 되어 있고 사실상 양육하는 보호자
○ 지원 금액
(첫째, 둘째 자녀)
- 출생아 1인당 일시금 200만 원
(셋째 자녀 이상)
- 셋째 자녀 100만 원 / 넷째 자녀 200만 원 / 다섯째 자녀 이상 300만 원(1회 지원)
○ 지급 방법
(첫째, 둘째 자녀)
- 국민 행복 카드 바우처로 지급 (사용 기한 : 대상자녀 출생일로부터 1년)
- 사회 복지 시설 보호 영유아 등의 경우 아동 발달 지원 계좌(디딤 씨앗 통장)로 현금 지급
(셋째 자녀 이상) 신청한 달의 다음 달 15일에 신청 계좌로 지급
○ 신청 기간
(첫째, 둘째 자녀) 없음
(셋째 자녀 이상) 출생 신고 후 6개월 이내
○ 문의
광진구청 가정 복지과 02) 450-7568
금천구
○ 지원 대상
(첫째, 둘째 자녀) 2022. 1. 1. 이후 출생 신고하여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셋째 자녀 이상)
관내 1년 이상 거주하며 2022. 1. 1. 이후 셋째아 이상 출산한 부모
※ 21. 12. 31. 이전 출생아에 한하여 관내 1년 이상 거주하며 첫째아 이상 출산한 부모에게 첫째아부터 출산 축하금 지급
○ 지원 금액
(첫째, 둘째 자녀) 출생아당 200만 원 (다태아 등에 상관없음)
(셋째 자녀 이상) 출생아당 200만 원 + 셋째 출생아 1인당 70만 원, 넷째 이상 출생아 1인당 100만 원
○ 지급 방법
(첫째, 둘째 자녀) 국민 행복 카드 바우처로 지급 (사용 기한 : 대상자녀 출생일로부터 1년)
(셋째 자녀 이상) 국민 행복 카드 바우처로 지급 + 셋째 자녀 이상 축하금 현금 지급
○ 문의
금천구청 여성 가족과 02) 2627-1414
성동구
○ 지원 대상
(첫째, 둘째 자녀) 2022. 1. 1. 이후 출생 신고하여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셋째 자녀 이상) 신청일 현재까지 1년 이상 계속하여 성동구에 영아와 주민등록을 같이 두고 실제 거주하는 부 또는 모 (성동구 1년 미만 거주일 경우 1년이 지난 후에 지급 가능)
○ 지원 금액
(첫째, 둘째 자녀) 출생아당 200만 원 (다태아 등에 상관없음)
(셋째 자녀 이상) 셋째 출생아 1인당 100만 원, 넷째 이상 출생아 1인당 150만 원
○ 지급 방법
(첫째, 둘째 자녀) 국민 행복 카드 바우처로 지급 (사용 기한 : 대상자녀 출생일로부터 1년)
(셋째 자녀 이상) 현금 지급
○ 문의
성동구청 민원 여권과 02) 2286-6879
중구
○ 지원 대상
(첫만남 이용권) 2022. 1. 1. 이후 출생 신고하여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출산 지원금) 2023. 1. 1. 이후 출생 신고하여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 지원 금액
(첫만남 이용권) 출생아 1명당 200만 원 1회 지원 (거주 기간, 다태아 등에 상관없이 지원 가능)
(출산 지원금) 첫째아 100만원, 둘째아 200만원, 셋째아 300만원, 넷째아 500만원, 다섯째아 이상 1,000만원
○ 지급 방법
(첫만남 이용권)
- 국민 행복 카드 바우처로 지급 (사용 기한 : 대상자녀 출생일로부터 1년)
- 시설 보호 아동의 경우 아동 발달 지원 계좌(디딤 씨앗 통장)로 현금 지급
(출산 지원금) 현금 지급
○ 문의
중구청 여성 가족과 02) 3396-5432
강동구/강서구/강북구/관악구/구로구/노원구/도봉구/동대문구/동작구/마포구/송파구/서대문구/서초구/성북구청/양천구/영등포구/용산구/은평구/종로구/중랑구
○ 지원 대상
2022. 1. 1. 이후 출생 신고하여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 지원 금액
출생아 1명당 200만 원 1회 지원 (거주 기간, 다태아 등에 상관없이 지원 가능)
○ 지급 방법
- 국민 행복 카드 바우처로 지급 (사용 기한 : 대상자녀 출생일로부터 1년)
- 시설 보호 아동의 경우 아동 발달 지원 계좌(디딤 씨앗 통장)로 현금 지급
○ 문의
강동구청 가족 정책과 02) 3425-5783
강서구청 여성 가족과 02) 2600-6491
강북구청 여성 가족과 02) 901-6703
관악구청 여성 가족과 02) 879-6133
구로구청 여성 정책과 02) 860-3013
노원구청 여성 가족과 02) 2116-3715
도봉구청 여성 가족과 02) 2091-3142
동대문구청 가정 복지과 02) 2127-5083
동작구청 영유아 보육과 02) 820-1786
마포구청 여성 가족과 02)3153-8925
송파구청 여성 보육과 02) 2147-2788
서대문구청 여성 가족과 02) 330-1834
서초구청 여성 보육과 02) 2155-6717
성북구청 여성 가족과 02) 2241-2587
양천구청 출산 보육과 02) 2620-4835
영등포구청 보육 지원과 02) 2670-4231
용산구청 여성 가족과 02) 2199-7173
은평구청 가족 정책과 02) 351-6223
종로구청 보육 지원과 02) 2148-2332
중랑구청 여성 가족과 02) 2094-1767
서울시에서는 거의 모든 지역구에서 '첫만남 이용권'이라는 국민 행복 카드 바우처를 통해 출생아 1인당 200만원 상당의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었는데요.
'첫만남 이용권' 외에도 지역구에서 추가로 제공하는 출산 장려금 최대 1,000만원 지원 뿐만 아니라 출산 용품 지원 혜택도 있다고 하니 위에 기재 해놓은 각 지역구별 담당 부서에 전화하셔서 유선으로 문의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첫만남 이용권'을 포함한 모든 출산 지원금 신청은 대상자녀 주민등록 상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로 방문 신청 및 복지로(http://www.bokjiro.go.kr), 정부24(http://www.gov.kr)에서 가능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
'생활 > 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별 추석 지원금> 모르면 안 되는 추석 지원금 지역별 지급 대상 및 금액 총 정리 (61) | 2023.08.31 |
---|---|
<서울시 반려동물 의료비 지원 제도> 신청 방법 / 지원 대상 / 종류 / 금액 총 정리 (38) | 2023.08.05 |
<재난적 의료비 지원 사업> 2023년 개정 최신 지원 내용 / 지원 대상 / 이용 방법 총 정리 (7) | 2023.07.29 |
<부산 워케이션> 숙박비 지원 받아 일도 하고 힐링도 할 수 있는 직장인들을 위한 프로그램 안내 (10) | 2023.07.28 |
<2023년 하반기 서울 희망의 집수리> 주거 취약 계층 집수리 지원 사업 / 지원 대상 / 신청 방법 총 정리 (10) | 202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