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페서네이트' 입니다 :)
오늘은 기존에 있던 청년 희망 적금이 2023년 6월 15일부터 청년 도약 계좌로 이름이 바뀌어 출시한다고 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청년 희망 적금에서 있었던 단점들을 보완하고 더 많은 돈을 모을 수 있도록 해준다고 하니 함께 알아보고 해당되시는 분들은 신청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가입 대상
○ 나이 : 가입일 기준 만 19세 ~ 만 34세 이하의 청년
※ 병적 증명서에 의한 병역 이행 기간이 증명되는 경우 현재 연령에서 병역 이행 기간(최대 6년)을 빼고 계산한 연령이 만 34세 이하인 사람 포함 (병역 이행 기간에 따라 최대 만 40세까지 가입 가능)
○ 개인 소득 (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 직전 과세 기간의 총급여액이 연 7,500만 원 이하 (6,000~7,500만 원은 비과세 혜택만 부여)
- 직전 과세 기간의 종합 소득 과세 표준에 합산하는 종합 소득 금액이 6,300만 원 이하
※ 직전 과세 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판단 (단, 가입 후 전년도 소득 재검증을 통한 개인 소득 요건 불충족 시 이자 소득세 부과)
○ 가구 소득 : 직전 과세 기간의 가구 소득이 중위 소득 180% 이하
※ 가구원 :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 상 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자 형제·자매로 한정 (단, 미성년자 형제·자매의 경우 가구원에는 포함되나 소득 합산은 제외)
※ 가구원을 판단하기 어려운 예외 사항은 별도 증빙 서류 제출을 통해 확인
※ 직전 과세 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전 연도 소득을 기준으로 판단
은행별 우대 금리 (1년 기준)
○ IBK 기업은행
기본 금리 4.5% + 소득 우대 금리 최대 0.5% + 은행별 금리 최대 1.0%
○ KB 국민은행
기본 금리 4.5% + 소득 우대 금리 최대 0.5% + 은행별 금리 최대 1.0%
○ NH 농협
기본 금리 4.5% + 소득 우대 금리 최대 0.5% + 은행별 금리 최대 1.0%
○ 신한은행
기본 금리 4.5% + 소득 우대 금리 최대 0.5% + 은행별 금리 최대 1.0%
○ 우리은행
기본 금리 4.5% + 소득 우대 금리 최대 0.5% + 은행별 금리 최대 1.0%
○ 하나은행
기본 금리 4.5% + 소득 우대 금리 최대 0.5% + 은행별 금리 최대 1.0%
○ JB 전북은행
기본 금리 4.5% + 소득 우대 금리 최대 0.5% + 은행별 금리 최대 1.0%
○ 경남은행
기본 금리 4.5% + 소득 우대 금리 최대 0.5% + 은행별 금리 최대 1.0%
○ 부산은행
기본 금리 4.5% + 소득 우대 금리 최대 0.5% + 은행별 금리 최대 1.0%
제가 정리해 놓은 은행 이외에도 다양한 청년 적금들이 많이 있으나 기본 금리뿐만 아니라 우대 금리를 포함한 금리가 가장 높은 9개의 은행을 우선 정리해 보았으니 다른 은행이 궁금하시다면 포털 사이트에서 '청년 도약 계좌'를 검색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생활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 적금 추천> 여행 경비 모으고 혜택도 받는 일석이조 적금 총 정리 (4) | 2023.07.02 |
---|---|
<1개월 초단기 적금 상품 총 정리> 금리 내려간 통장에 몇 달 씩 오래 넣지 마세요! (최대 연 3%) (2) | 2023.06.28 |
<1금융권 은행별 혜택 좋은 급여 통장> 직장인들 필수! 급여 통장의 중요성 알아보기! (2) | 2023.06.27 |
<청년 도약 계좌> 가입 전 궁금한 질문 및 답변 모음 / 신청 기한 / 부부 가입 등 총 정리 (4) | 2023.06.22 |
<2023년 희망 두배 청년 통장> 신규 참여자 모집 신청 대상 신청 방법 총정리 (1) | 2023.05.30 |